서울 아파트, 연 소득 9천 넘겨도 10년 이상
아파트 평균 가격 9억 7천만 원
국내 1인 실질 소득 4천 4백만원, 23년 모아야 간신히 구매
서울 아파트 구입 소득, 처음으로 9000만 원 넘었다
아파트값은 9억7000만 원…소득 대비 PIR 10.5배

올해 2분기 서울에서 아파트를 구입한 가구의 중위소득이 9173만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08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9000만 원을 돌파한 수치다. 전년 동기 대비 17.4%나 상승했는데, 이는 고소득자 위주로 아파트 매입이 이뤄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같은 기간 서울 아파트 중위가격은 9억7000만 원으로 전분기 대비 6.6% 올랐다. 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PIR)은 10.5배로 나타나, 가구가 연소득을 한 푼도 쓰지 않고 10년 6개월간 모아야 아파트를 구입할 수 있는 수준이다. 이는 주거 사다리가 한층 더 멀어졌음을 의미한다.
경기·인천도 소득 기준 올라

경기 아파트 구입 가구의 중위소득은 6174만 원으로 사상 처음 6000만 원을 넘어섰다. 인천도 5007만 원으로 상승했다. PIR은 각각 8.7배, 8.4배로 나타났는데, 이는 수도권 전역에서 아파트를 구입하는 데 필요한 소득 수준이 빠르게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편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와 스트레스 DSR 도입으로 소득이 낮은 가구는 대출 자체가 어려워졌다. 가계대출 총량이 줄어든 상황에서 대출 심사 문턱까지 높아지자, 상대적으로 여유가 있는 고소득자나 현금 보유자가 매수 경쟁에서 유리한 구조가 고착화되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중산층이나 청년층은 사실상 아파트 시장에서 밀려나는 상황이다. 전세나 월세에 의존해야 하는 기간이 길어지고, 내 집 마련 시점은 더욱 늦춰질 수밖에 없다. 특히 DSR 규제가 강화되면서 맞벌이 가구조차 원하는 수준의 대출을 받기 어렵다. 결과적으로 주거 양극화가 심화되고, 무주택 서민들은 주거 불안에 더 크게 노출된다. 특히 우리나라 국민의 1인당 실질 소득은 대략 4400만원 수준이다. 서울 내 아파트를 구매하려면 23년 동안 한 푼도 안쓰고 모아야 가능한 수준이다. 상당한 금액을 대출받지 않는 이상 서울 내 아파트 구매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 “70,000원 할인” G마켓, 가을시즌 여행족 할인 쿠폰 지급!
- “침구류 50% 할인” 가을 시즌 새 이불 교체, 지금 안 하면 손해!
- “20만원 증정” 롯데백화점 추석연휴, 가을시즌 세일 주목!
- “최대 60% 할인” 11번가 블랙프라이데이, 해외직구 상품 대방출!
- “에버랜드 45% 할인” SKT 추석 맞이 10월 멤버십 혜택 주목!
대출규제 여파로 서울 아파트
고소득층만 구매 가능한 상황

전문가들은 수도권 주택담보대출을 6억 원으로 제한하는 6·27 대출 규제가 시행되면서 3분기에도 같은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결국 부동산 시장은 고소득자와 현금 부자 중심으로 재편될 가능성이 크며, 서민과 청년층의 주거 사다리 복원이 중요한 과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종합했을 때 일반 서민들의 내 집 마련의 꿈은 점점 멀어져만 가고 있다. 이번 정부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지 귀추가 주목된다.